환자 사정 2차조사
2) 2차조사(Secondary survey)
2차조사는 생명에 위협은 없는 상황에서 시행되는 것으로, 완전하고 세밀하게 이루어지는 사정으로 다음의 항목에 대해 조사한다.
2차 조사의 목적은 현재 생명에 위협은 되지 않으나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에 위협되는 내과적 문제와 손상과 관련있는 문제들을 발견하기 위함이다. 1차조사는 처치를 하면서 사정을 진행하나 2차 조사에서는 완전히 사정을 끝낸 후 치료계획을 세운다.
● 활력 징후 측정
● 신체검진(두부에서 발가락까지 조사)
● 병력조사
□ 활력징후(Vital signs)
● 맥박
● 혈압
● 호흡
● 피부온도와 색깔
● 동공
응급구조사는 환자상태를 충분히 평가하여 관찰사항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각 활력징후의 정상범위를 알고 있어서 환자의 현 상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맥박(Pulse)
정상맥박은 1분에 60~80회 정도이고 맥박의 수, 리듬(규칙성); 그리고 강도(strength)가 어떠한가(weak, thready, strong)를 평가한다. 만약에 환자의 상태가 요골맥박이 촉지된다면 혈압은 적어도 80 mmHg이고, 대퇴 맥박이 촉지된다면 70 mmHg, 경부 맥박이 촉지되면 혈압은 적어도 60 mmH는 된다.
환자가 빈맥(tachycardia)상태라면 신체적인 운동을 했거나 불안, 놀람, 실혈, 저산소증, 심방부정맥 또는 기타 문제를 가진 것을 뜻하며 반대로 서맥(bradycardia) 상태라면 환자는 잘 훈련된 운동선수이거나, 뇌내압의 상승, 저산소증, 심한 쇼크, 심부정맥 또는 기타 문제가 있음을 의미한다.
혈압(Blood pressure)
혈압은 심장 수축시(수축기압) 동맥벽에 대한 혈액압은 수은주로 측정하거나 심장의 이완기 동안의 압(이완기압)을 측정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자의 경우 50세까지 정상압은 수축기압이 100 mmHg 이완기압이 70~90 mmHg 범위이고, 여자의 경우는 50세까지 수축기압이 90 mmHg이다. 만약 수축기압이 180 mmHg 이상이거나 90 mmHg 이하라면 예외는 있지만 우려가 된다.
이완기압은 95 mmHg 이하, 60 mmHg 이상은 되어야 한다.
만약에 이완기압이 90 mmHg 이하가 되면 실혈로 인한 저혈압이거나 저산소증, 심부정맥, 폐수종 또는 기타 문제가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180 mmHg 이상인 경우에는 뇌내압의 증가 또는 고혈압이 있음을 뜻한다.
호흡(Respirations)
휴식시 성인의 호흡수는 1분에 12~20회 범위이다. 호흡은 수, 리듬, 깊이를 측정한다. 특히 심장환자, 외상환자 그리고 호흡곤란이 있는 환자들은 호흡음을 들어보아야 한다.
피부(Skin)
피부색깔과 체온은 환자의 상태에 대해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해 준다. 피부색깔은 정상이거나 붉은색(일산화탄소 중독, 열과 관련된 문제), 창백(쇼크, 놀람, 체온저하), 청색증(부적합한 산소 공급상태) 또는 얼룩덜룩(알러지 반응, 사망)하게 나타난다.
동공(Pupils)
동공은 뇌의 상태에 대한 거울이다. 동공을 관찰하고 그 반응을 봄으로써 중요한 신경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동공상태의 평가 지표로는 동공의 등동성(equality)과 두 동공의 크기와 동공반응(reactivity)으로 빛에 대해 두 동공이 동시에 적절히 반응(수축)하는가를 본다.
기타 관찰할 사항으로는 다음과 같다.
● 점과 같은 크기(pin point)의 동공-Narcotic 제제 사용 가능성.
● 확장된 동공-환각제 사용, 두부손상 또는 사망.
●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동공-심한 두부손상(뇌졸증, 종양, 외상). 극히 일부의 사람에서는 정상에서도 두 동공의 크기가 다른 경우도 있다.
● 양쪽 측면으로 확장되고 고정된 동공-심한 뇌간 손상(임종환자).
□ 신체검진(두부에서 발가락까지)
신체검진은 아프거나 손상을 입은 환자의 몸 전체를 시진, 촉진, 청진, 그리고 후각을 이용해 체계적으로 사정하는 것이다.
이상이 있는 부위에 대해서는 압통(tenderness), 좌상(contusions), 기형(deformities), 출혈(hemorrhage), 부종(swelling) 및 기타 병리적 소견이 있는지 체크하도록 한다.
신체검진은 두부에서 시작하여 발끝까지 내려오고 검진은 2분 이상 걸리지 않도록 하며 다음 각각의 부위에 대해 응급구조사는 시진, 촉진, 청진을 하도록 한다.
두부(Head)
다음 각 부위에 대해 시진, 촉진 및 냄새를 맡아보고 기형, 부종, 변색, 연조직 손상 등의 유무를 살펴야 한다.
● 피부와 두피
● 눈-동공은 등동이고 빛에 반응해야 한다.
● 귀-외이도로부터 뇌척수액(CSF)유출이 있는지 본다.
● 코
● 입-말을 할 수 있는가 본다.
● 뼈-두개골과 안면골 상태를 본다.
경부(Neck)
다음 각 부위에 대해 시진, 촉진과 경동맥 상부 멍든 곳에는 청진으로 검사하며, 연조직 손상, 피하조직 기종, 부종, 변색 등을 살핀다.
● 피부
● 기관-변위 유무가 있는가?
● 혈관-경정맥 팽창(jugular venous distention)이 있는가?
● 경추-외상환자에서는 1차조사시 경부를 안정시킨 상태로 한다.
흉부(Thorax)
흉부검진은 시진, 촉진, 청진으로 다음 각 부위에 대해 연조직 손상, 기형, 부종, 변색 그리고 흉부팽창의 대칭 여부를 검진한다.
● 피부
● 흉벽-골과 근
● 폐
● 심장-필요한 경우에는 심전도 체크도 한다.
복부(Abdȯmen)
시진과 촉진으로 다음 각 부분에 대해 연조직 손상, 내장탈출, 팽만, 복부강직 등의 상태를 사장한다.
● 피부
● 근
● 후복막강(신장, 췌장)
● 요추
● 골반(기형)
● 생식기
하지(Extremities)
시진, 촉진으로 다음 각 부위의 연조직 손상, 기형, 부종, 변색, 감각, 움직임, 상지와 하지 원위부위의 맥박 유무 등을 사정한다.
● 피부
● 연조직
● 혈관
● 뼈
신경학적 검진(Neurologic examination)
● 의식수준(사람, 시간, 장소에 대한 방향감각)
● 경련발작(맥박상승, 실금, 입술이나 혀를 깨문 자국)
● 운동성(상하지의 움직임 상태)
● 감각(사지의 감각상태)
● 동공(등동성, 빛에 대한 반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