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5) 썸네일형 리스트형 환자 사정 2차조사 2) 2차조사(Secondary survey) 2차조사는 생명에 위협은 없는 상황에서 시행되는 것으로, 완전하고 세밀하게 이루어지는 사정으로 다음의 항목에 대해 조사한다. 2차 조사의 목적은 현재 생명에 위협은 되지 않으나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에 위협되는 내과적 문제와 손상과 관련있는 문제들을 발견하기 위함이다. 1차조사는 처치를 하면서 사정을 진행하나 2차 조사에서는 완전히 사정을 끝낸 후 치료계획을 세운다. ● 활력 징후 측정 ● 신체검진(두부에서 발가락까지 조사) ● 병력조사 □ 활력징후(Vital signs) ● 맥박 ● 혈압 ● 호흡 ● 피부온도와 색깔 ● 동공 응급구조사는 환자상태를 충분히 평가하여 관찰사항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각 활력징후의 정상범위를 알고 있어서 환자의 현 상.. 환자 사정 1차조사 2. 환자 사정 환자 사정은 응급구조사가 개발하여 의료시설 밖에서 적용하여야 할 가장 중요한 기술의 하나이다. 왜냐하면 적절한 환자 사정이 이루어져야 적절한 처치가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장에서는 신속하게 행해지는 1 차조사방법과 좀더 세밀하게 환자상태를 파악하는 2차 조사방법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응급조사는 현장에 도착하기 전에 미리 제공받은 정보에 의해서 환자상태 평가를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때로는 미리 받은 정보가 부정확하여 사정의 과정을 바꾸어야 할 경우도 있다. 실제 환자사정은 응급상황에 도착하여 시작되며 그 상황은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제공해 준다. 손상기전(자동차사고-속도, 바퀴가 어느 정도 굽었는가?)이나 낙하(얼마나 멀리 떨어졌는가?), 또는 사고당시의 환자의 체위 .. 임상 응급의학 1. 응급상황조사 응급구조사는 응급상황에 처하였을 때 우선 그 자신이 손상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이는 손상을 입었거나 사망하게 되면 환자에게 아무 도움도 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응급구조사는 우선 위험상황이 있는지부터 조사하고 경찰, 소방대 등의 도움이 요구되는지도 파악하여야 한다. 그 다음에 환자의 안전과 복지를 고려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1) 환경조사 첫째로 위험요소가 있는지 확인을 하고 그 다음에는 응급상황의 원인이 무엇인지, 즉각적인 환경 위험요소가 있는지 파악한다. 만약에 응급구조사가 응급환경에서의 특별한 위험요소를 다루는 훈련을 받지 않았다면 그러한 문제를 다루는 전문인력이나 기관에 연락하도록 한다. 다음은 흔히 야외에서 접하게 되는 응급환경 상황이다. ● 화재 또는 화.. 이전 1 ··· 12 13 14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