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응급의학

(20)
만성 폐색성 호흡기질환 4. 만성 폐색성 호흡기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이 질환은 여자보다는 남자에서 흔히 발병되며 농촌인보다는 도시인에서 발병률이 높다. 가장 큰 원인으로는 흡연을 들 수 있다. 폐기종(Emphysema) □ 원인 폐기종은 세기관지의 미만성 팽만과 페포 중격의 파괴로 폐에 공기가 차있는 공간이 증가하고, 폐의 탄력성 상실과 그리고 환기 상태의 이상 및 혈액의 가스 유통의 변화 등으로 기인한 폐기능 손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질환이다. 흔히 세계관지에 부분적인 페색이 있으며 만성적인 호흡기 부전과 심폐부전으로 이행한다. 연령적으로는 45세 이후의 남자에서 주로 발생되는 질환으로 만성적인 폐질환의 선행병력이 없이 오거나 만성 미만성 기관지 폐색에 2차적으..
호흡기계 응급질환 관리 2. 호흡기계 환자 사정 1) 병력 호흡기계의 사정은 환자의 병력에 대한 자료 수집과 신체검진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병력에 관하여는 환자의 주호소(chief complaint)와 그 밖에 다른 증상이 있는지 알아 보고 언제부터 호흡곤란이 시작되었는지에 대한 자료 수집도 한다. 다음은 자료 수집시 포함되어야 할 항목들이다. ● 호흡곤란(dyspnea)이 얼마동안 지속되었는가? ● 증상의 발현은 서서히 이루어졌는가? 아니면 갑자기 이루어졌는가? ● 호흡곤란은 체위 변화로 완화 또는 악화되는가? ● 환자는 폐질환 병력이 있는가? - 질병의 상태는 어느 정도인가? - 먼저번의 증상 발생은 어떠하였는가? ● 환자는 심장질환이나 고혈압의 병력이 있는가? ● 환자는 기침을 해왔는가? - 만약 기침이 있었다면 객담을 ..
호흡기계 해부 및 생리 제3장 호흡기계 호흡은 생명에 필수적 요소로 호흡이 중단되면 생명이 유지될 수 없다. 호흡작요은 이러한 심장맥관계와 같이 기능하여 폐에 들어온 산소를 폐조직에 운반하여 주고 대신 체조직에서 돌아온 노폐물인 이산화탄소는 폐를 통해 내보내고 있다. 이러한 호흡기계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한 환자는 병원에 오기 전 응급현장에서 흔히 접할 수 있다. 이때 호흡기계의 기도 유지 관리는 환자의 성공적인 처치에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이 장에서는 기도유지와 기도 관찰을 위한 호흡기계의 해부와 생리, 호흡기계의 사정, 호흡기계 질환관리에 관해 다루고자 한다. 1. 호흡기계 해부 및 생리 호흡기계는 비공(nares)에서 인두(phanynx), 후두(lanynx)를 거쳐 기관(trachea), 기관지(bronchus)를 통해 ..
비출혈성 질환 □ 담석증(Cholelithiasis) 담석이나 담관이 결석 형성으로 폐쇄된다. 급성 발작이 경감된 후에 필요하다면 담낭절제술을 하는데 95% 정도가 수술후 회복된다. ● 증상 우상복부 통증(늑골 주위에서 등이나 견갑골 쪽으로 방사된다)과 지방음식 소화곤란이 있다. 상복부통증(heart burn)이 있거나 고창(flatulence), 트림(eructation), 오심 및 구토가 온다. □ 담낭염(Cholecystitis) 담석이 담관을 폐쇄함으로써 담낭에 염증이 나타나는 것이다. 급성 담낭염으로 인한 사망률은 5% 미만인데 대개 당뇨병 환자와 60세 이상 환자들이다. ● 증상 우상복부 통증(우측 어깨와 견갑골 방사) 및 오심, 구토, 발열 등이 오며 담낭이 촉진된다. □ 담낭암(Cancer of gall..
복부 손상 관리 복부 손상 관리 □ 복부 둔상 - 복부 둔상은 외부로 증상이 빨리 나타나지 않으며 입전 장기에 손상을 초래하여 치명적이 될 수 있는데 10~30% 정도의 사망율을 초래한다. ● 사정 - 배꼽 주위 청회색 변색(Cullen’s sign)과 복통. - 오심, 구토를 나타내며 복부강직이 온다. ● 처치 - 처치로는 기도유지 및 산소공급과 앙와위 유지 및 복강내 출혈이 의심되면 의사의 지시에 따라서 MAST를 착용시킨다. - 정맥주입으로는 교질액, 생리식염수, 링거액 등을 최대 속도로 주입하며 구강으로는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는다. □ 복부 관통상 ● 원인 칼, 총알, 예리한 기구 등으로 인한 복부 관통상은 인위적으로 초래되는 치명상이다. ● 사정 둔상과 마찬가지로 외부에 나타나는 창상은 작고 깨끗하지만 그 밑의..
소화기계 환자 사정 2. 소화기계 환자 사정 1) 1차 조사(Primary survey) 1차 사정은 기도확보, 호흡상태 및 순환상태의 평가로 이루어진다. 2) 병력 병력은 출혈성, 비출혈성, 질환/외상 여부를 파악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주호소인 통증과 관련된 질문은 다음과 같이 시행한다. □ 주호소인 통증과 관련된 문진 내용 ● P=유발요인: 무엇이 이러한 아픔을 초래하였는가? ● Q=아픔의 질(예리한지, 무딘지, 간헐적인지, 지속적인지) 지속적인 복통은 복부기관의 염증이나 파괴적인 병변을 의미하며, 발작적이며 간헐적인 통증은 공동기관 폐색을 의미한다. ● 3R(Region, Radiation, Reffered)=통증의 위치(Region), 방사성(Radiation), 관련통(Reffered)인지? 예) 췌장염의 경우 등..
소화기계 해부 및 생리 흡인장치(Suction devices) 흡인 장치는 기도청결을 위해 기도로부터 액체와 작은 고형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기도가 청결히 유지되어야만 호흡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기도로부터 흡인하는 물질은 토물, 타액, 음식물, 혈액 및 산소 등이다. 흡인시에는 산소고 흡인이 되므로 흡인되기 전에 산소공급이 충분한가 확인하여야 한다. 기관 흡인시에는 10초 이상 하지 않는다. 장시간의 흡인은 혈액내 산소 농도를 감소시켜 심장정지를 유발시킬 수 있다. 기도의 시진과 폐와 기관의 청진을 한 다음 흡인을 하도록 한다. 사용방법 Whistle tip 흡인 도관 이것은 가늘고 유연한 튜브로서 기관흡인과 기관삽관 튜브 흡인시 사용한다. 이 흡인도관은 많은 양의 액체를 빠르게 흡인하거나 작은 조각의 음식물을..
응급의학의 개요 (2) 기관내 삽입(Endotracheal intubation) ET 튜브는 길이나 직경이 다양하다. 이 튜브는 유연성이 있으며 끝에는 부풀릴 수 있는 풍선 cuff가 있다. 그러므로 기관내에서 고정이 가능하다. ET 튜브의 사용목적은 기도 유지와 흡인(aspiration)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이 기도유지의 장점은 기도를 완전히 확보할 수 있고 흡인을 예방하며 양압환기가 가능하다. 또한 기관지 흡인(suction)이 가능하며 위팽만을 예방할 수 있고 고농도 다량의 산소와 환기가 가능하다. 투약도 이곳으로 할 수 있다. 반면 단점으로는 삽입시 성대를 직접 보면서 삽입하여야 하고 조직손상을 입힐 수 있다. 식도삽관이 될 수도 있으며 삽입도중 후두 경련이 와서 기도를 폐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삽관을 제대로..